목차
안녕하세요 ~ 궁금한 게 많은 탐구형 방구석 소비자, 탐방소 에요 |´∀`●)
이번 포스팅에서는 결막염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해요 !
1. 결막염 이란 ?
결막염은 눈의 흰자 부분과 눈꺼풀 안쪽을 덮고 있는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에요.
주로 바이러스, 박테리아, 알레르기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며, 눈이 충혈되고 가려움, 따가움, 눈곱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나요.
결막염은 비교적 흔한 질환이지만, 원인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해요.
1-1 결막염의 원인
1) 바이러스 감염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가장 흔한 형태로, 특히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요.
감기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전염성이 강해요.
감염된 사람의 눈물, 분비물과의 접촉이나 오염된 손으로 눈을 만졌을 때 감염될 수 있어요.
2) 세균 감염
박테리아(예: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임균 등)에 의해 발생하는 세균성 결막염도 있어요.
바이러스성 결막염보다 덜 흔하지만, 눈곱이 심하게 끼고 눈이 부어오르는 증상이 특징이에요.
특히 임균성 결막염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빠른 치료가 필요해요.
3) 알레르기 반응
꽃가루, 동물의 털, 먼지, 화장품, 렌즈 세척액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도 결막염이 생길 수 있어요.
보통 양쪽 눈에 동시에 증상이 나타나며, 가려움이 심하고 눈물이 많이 나요.
계절성 알레르기(예:봄철 꽃가루 알레르기)와 관련된 경우가 많아요.
4) 자극성 물질
공해, 연기, 연소(수영장 물), 먼지, 강한 자외선 등도 결막을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요.
이는 감염성 결막염과 달리 전염되지 않아요.
1-2 결막염의 증상
1) 눈 충혈
결막에 염증이 생기면 혈관이 확장되어 눈이 빨갛게 충혈돼요.
충혈이 심할수록 염증이 심하다는 신호일 수 있어요.
2) 눈곱 증가
바이러스성 결막염에서는 맑은 눈물이나 끈적한 분비물이 나오고, 세균성 결막염에서는 노란색 또는 녹색의 진한 눈곱이 많이 생겨요.아침에 일어났을 때 눈이 눈곱으로 인해 잘 안 떠지는 경우도 있어요.
3) 가려움과 따가움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경우 가려움이 심하고, 감염성 결막염에서는 따가운 느낌이 동반될 수 있어요.
4) 눈물 과다 분비
눈이 자극을 받으면 눈물이 많이 나올 수 있어요.특히 알레르기나 바이러스감염이 원인인 경우 눈물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어요.
5) 이물감과 부종
눈에 뭔가 들어간 것 같은 느낌(이물감)이 들고, 눈꺼풀이 붓기도 해요.
심한 경우 각막(검은 눈동자 부분)까지 염증이 퍼질 수 있어 시야가 흐려질 수 있어요.
2. 결막염의 합병증
1) 각막염
결막염이 심하거나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각막(검은 눈동자 부분)까지 염증이 번져 각막염이 발생할 수 있어요.
각막에 염증이 생기면 시야가 흐려지고 심한 경우 시력 저하까지 이어질 수 있어요.
2) 만성 결막염
결막염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제대로 치료되지 않으면 만성 결막염으로 진행될 수 있어요.
이 경우 눈이 자주 충혈되고 눈곱이 계속 나오는 등의 증상이 지속돼요.
3) 중이염 또는 부비동염
특히 어린이의 경우 결막염이 코와 귀로 연결된 통로(눈물길)를 통해 퍼지면서 중이염이나 부비동염을 유발할 수 있어요.
4) 다른 사람에게 전염
감염성 결막염(특히 바이러스성)은 전염성이 강해서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쉽게 옮길 수 있어요.
따라서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해요.
3. 결막염의 치료법
1) 바이러스성 결막염 치료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특별한 치료제가 없고, 대증치료(증상을 완화하는 치료)가 중심이 돼요.
인공눈물로 눈을 자주 씻어주고, 냉찜질을 하면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어요.
심한 경우 스테로이드 안약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해요 !
2) 세균성 결막염 치료
세균 감염이 원인인 경우 항생제 안약이나 연고를 사용해야 해요.
항히스타민제 안약이나 먹는 약을 복용하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어요.
심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안약을 사용할 수도 있어요.
3)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
원인이 되는 알레르겐(꽃가루, 먼지 등)을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항히스타민제 안약이나 먹는 약을 복용하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어요.
심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안약을 사용할 수도 있어요.
결막염은 비교적 흔한 질환이지만, 원인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해요.
감염성 결막염은 전염성이 강하므로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원인을 피하는 것이 중요해요!
함께 보면 좋은 글로 관련 증상이 있는 다른 질환들의 글을 준비해보았어요 ~~
동일한 증상이 확인되는 다른 질환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
그럼 탐방소는 이만 ~ 다음 글에서 만나요 ! ( • ᴗ -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2025.01.25 - [건강] - 이루 에 대해 - 눈물이 자꾸 흐른다면 ? 원인 증상 합병증 치료법 눈물관 감염 눈물주머니염
이루 에 대해 - 눈물이 자꾸 흐른다면 ? 원인 증상 합병증 치료법 눈물관 감염 눈물주머니염
목차 1. 이루 이란? 1-1 이루 원인 1-2 이루 증상2. 이루 합병증 3. 이루 치료법 안녕하세요 ~ 궁금한 게 많은 탐구형 방구석 소비자, 탐방소 에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루 에 대해
atreasurechest.tistory.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야모야병에 대해 - 다운증후군과 신경섬유종증이 동반되는 질환 ? 원인 증상 치료법 합병증 (4) | 2025.02.27 |
---|---|
쿠싱증후군에 대해 - 복부에만 살이 찌고 멍이 잘 든다면 ? 원인 증상 치료법 합병증 (6) | 2025.02.26 |
인후염에 대해 - 방치하면 중이염까지 ? 원인 증상 합병증 치료법 (5) | 2025.02.24 |
황반변성에 대해 - 비흡연자보다 흡연자에게 4배 높은 발병률을 가진 안과 질환 원인 증상 합병증 치료법 (10) | 2025.02.23 |
습진 에 대해 - 붉은 발진, 피부 비늘 증상이 나타난다면 ? 원인 증상 치료법 합병증 (6) | 2025.02.22 |